• 한국 작명의 정통성
  • 협회소개
  • 교육안내
  • 유튜브 강연
  • FAQ
  • 작명 이야기
  • 자료실
  • 한국 작명의 정통성
  • 협회소개
  • 교육안내
  • 유튜브 강연
  • FAQ
  • 작명 이야기
  • 자료실

한국 작명의
정통성 선언

우리는 한국 작명의 정통성이 성군 세종대왕께서 창제하신 한글을 사용하는 것과 그 한글의 창제원리를 따르는 것에 있음을 선언한다. 더보기

한국 작명학이
왜곡되고만 역사적 이유

세종대왕은 훈민정음을 창제하신 직후 손수 그 사용례와 창제원리를 간략히 들어 보이시고는 이에 상세히 더보기

작명,
이것만은 확인하자

세종대왕은 한글을 창제하실 때 우리가 쓰는 말소리의 특질을 세심하게 관찰하신 후 다음의 <그림 1>-①과 같이 다섯그룹으로 나눠놓으셨다. 더보기

한글학회의 소리오행
확인공문

지난 6월 10일 한글학회에서는 본 협회의 요청에 따라 한글 초성의 소리오행 구분이... 더보기

소리오행의 상호 조합
사례와 그 평가

세종대왕이 가르쳐주신 한글의 음성자질은 『훈민정음』 해례본에 실려있는데 다음 그림과 같이 상호간에 상생·상극·상비의 작용 을 미치기 때문에 사람의 이름을 짓는 작명에서 특히 중요한 의미를 띕니다. 더보기

상비(相比)만으로
이루어진 이름에 대해서

소리오행의 상비(相比)관계는 ㅇ과 ㅎ, ㅅ과 ㅈ 등 서로 같은 오행을 지닌 자음끼리 만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더보기

모음 ‘ㅣ’에 대한 오해

세종대왕은 훈민정음을 창제하시면서 다음과 같이 모음의 특성을 음과 양, 그리고 중성으로 구분하셨습니다. 더보기
Copyright © 2021 한국작명교육협회 All Rights Reserved.